클라우드 컴퓨팅
IT리소스를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,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.
데이터 센터
서버가 모여 있는 인프라를 관리하는 공간을 말한다.
- 운영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구축 시간이 느리다.
데이터 센터 VS 클라우드
만약 엔지니어가 출장을 가정 했을 때, 엔지니어는 숙박할 곳이 필요하다.
일단 2가지에 선택을 할 수 있다.
1. 숙박할 집을 짓는다.
- 집을 지었을 때의 장점은 내가 원하는 대로 커스텀 가능하다.
- 하지만 투자 비용이 많이 들고 직접 유지보수를 해야한다.
2. 호텔에 머문다.
- 사용한 만큼 돈을 지불하고 바로 사용 가능하다. 그리고 유지보수를 할 필요가 없다.
- 내집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지만 사용하는 동안 내 집처럼 사용 가능하다.
한마디로
데이터 센터는 설계와 유지보수 모두 엔지니어가 부담해야하는 것이고,
클라우드는 사용할 만큼 돈을 지불하고 빌려 쓰는 것이다.
클라우드 용어
고가용성
장애 상황을 해결하고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 능력이다. 장애 상황에 대한 준비가 되어있어야 한다.
예를 들어, 오프로드 차 뒤에 있는 예비 타이어이다. (펑크가 났을때 타이어를 교체 할 수 있다.)
장애 내구성
장애 상황에서도 서비스를 지속 할 수 있는 능력이다. 완전하기 위해선 예비 인프라가 필요하다.
예를 들어, 비행기의 엔진이다. (4개가 있으면 2개정도는 망가져도 비행 할 수 있다.)
탄력성
확장성과 비슷하지만, 수요에 따라 컴퓨팅 파워/용량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능력이다.
긴밀한 결함 (Tight Coupling)
다른 주체에 대해서 단단하게 얽힌 상태이다. 주체 끼리 높은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서 변경이 어렵다.
예를 들어, 눈이다. 내 몸하고 높은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서 변경이 어렵다.
느슨한 결함 (Loose Coupling)
다른 요소에 얽히지 않고 연결 되어 있는 상태이다. 주체 끼리 의존성이 낮아서 변경이 쉽다.
예를 들어, 안경이다. 내 몸하고 의존성이 낮아서 변경이 쉽다.
'DevOps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uto Scaling, ELB 이란? (0) | 2024.10.11 |
---|---|
[AWS] EC2 기초 이론 (1) | 2024.10.07 |
[AWS] EC2로 FTP 실습하기 (0) | 2024.10.07 |
[AWS] EC2 웹서버 실습하기 (0) | 2024.10.07 |
[AWS] AWS 기초 지식 공부 (5) | 2024.10.04 |